-
신생아 구토 대처법, 치료법,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개쉬판1 2025. 4. 22. 09:57
신생아 구토(vomiting)는 위 내용물이 입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는 현상으로, 생후 첫 몇 주부터 흔히 관찰됩니다. 구토와는 달리 잘 토해지는 역류(regurgitation)와는 구분되며, 신생아가 먹은 젖이나 분유가 분출될 때 ‘토한다’고 표현합니다. 생리적 역류는 하루 수차례 소량 발생할 수 있지만, 구토는 반복적·고압 분출 양상을 보입니다.
구토의 분류
- 생리적 역류(Physiologic regurgitation): 먹은 젖이 입밖으로 흘러나오는 정도로, 대부분 무해하며 성장하면서 호전
- 병적 구토(Pathologic vomiting)
- 위식도 역류 질환(GERD):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불편감·구토 유발
- 비후성 유문 협착증(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생후 2–8주에 반복적 직선상 분출구토(projectile vomiting)
- 장 폐쇄(Intestinal obstruction): 팽만감·구토·무배변 동반
- 감염성 위장염(Gastroenteritis): 설사·발열·구토
- 대사 이상(Metabolic disorders): 유기산혈증·요단백 대사장애
- 뇌신경계 이상(CNS pathology): 뇌수두증·뇌출혈로 인한 뇌압 상승
구토 발생 기전 및 주요 원인
- 위장관 기전
- 식도 하부 괄약근 역기능 → 위 내용물 역류
- 유문부 협착 → 위 배출 지연, 압력 상승
- 장 폐쇄 시 이동 못한 장 내용물 ↑ 압력
- 중추성 기전
- 연수 구토중추 자극 → 강제 배출
- 뇌압 ↑(수두증, 출혈) 시 구토 반사 활성화
- 전신성 요인
- 감염(바이러스·세균)으로 장 점막 자극
- 대사 장애(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임상 증상 및 징후
- 구토 양상
- 소량·잔토(vomit spitting) vs 대량·강제 분출(projectile)
- 연관 증상
- 탈수 증상(무한 울음, 눈물 부족, 입술 건조)
- 체중 증가 부진(failure to thrive)
- 복부 팽만·경련성 통증 징후(상복부 팽만, 다리 당김)
- 혈액이 섞인 구토(hematemesis) 시 출혈성 원인 의심
진단 평가 방법
- 문진 및 병력 청취
- 구토 시작 시기, 빈도, 양상, 색깔(황·녹색 담즙, 혈액 여부)
- 수유 관계(모유·분유 교체, 수유량·빈도)
- 체중 변화, 소변·대변 패턴
- 신체 검사
- 활력징후(심박·호흡·체온)
- 탈수 징후(안검 함몰, 혈압 저하, 말초 순환 장애)
- 복부 촉진(팽만, 저음, 종괴 감지)
- 신경학적 징후(긴장도, 반사 이상)
- 영상 검사
- 복부 초음파: 유문 협착 여부, 장 폐쇄 소견
- 복부 X선 촬영: 기체 패턴, 폐쇄 부위
- 신경초음파/CT/MRI: 뇌병변 의심 시
- 실험실 검사
- 전해질(나트륨·칼륨) 및 혈액 가스(pH, HCO₃⁻)
- 혈당, 간기능 검사(AST/ALT)
- 감염 마커(CRP, WBC)
- 대사 스크리닝(유기산, 아미노산 분석)
초기 대처법
- 체위 교정: 수유 후 최소 20–30분 동안 머리 높이 유지, 우측위(recumbent right-side)로 눕히기
- 수유 조절:
- 소량씩 자주(60–90mL씩 2–3시간 간격 → 30–45mL씩 1.5–2시간 간격)
- 수유 후 트림(trip off) 유도: 어깨 위로 올려 등을 가볍게 두드림
- 젖병 선택: 공기 혼입 최소화형 젖꼭지 사용
- 포만도 관리: 배고픔과 포만감 사이 적정선 찾기, 수유량 조절
보존적 치료 전략
- 위식도 역류 약물
- 제산제: 시메티콘(simethicone) 경구 제제
- H₂ 차단제: 라니티딘(ranitidine)
- PPI(프로톤 펌프 억제제): 오메프라졸(omeprazole)
- 영양 관리
- 고열량 농축 분유(비중 1.08–1.10)
- 가용성 식이 섬유(쌀녹말) 첨가 분유
- 위장관 운동 촉진제
-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신중 사용
-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저용량
수분·전해질 교정
- 경구 수분보충(Oral Rehydration Therapy, ORT)
- WHO 권장 ORS(oral rehydration salts) 소량씩 자주 투여
- 정맥 수액요법
- 중증 탈수 시 20 mL/kg 생리식염수(0.9% NaCl) 보충
- 전해질 모니터링 후 K⁺·Cl⁻ 보충
수술적 치료
- 비후성 유문 협착증:
- 라메튼 수술(pyloromyotomy)로 유문부 비후 근육 절개
- 수술 전 탈수·전해질 부조화 교정 필수
- 장 폐쇄: 원인 제거 수술(장중첩술 reduction, 소장 문합술)
- 기타: 중증 식도 역류 환자에겐 항역류 수술(Nissen fundoplication) 고려
추적 관찰 및 예후
- 체중·성장 추적: 매주 체중·신장 측정
- 영양 상태 평가: 영양 섭취량·배변 패턴 모니터링
- 약물 부작용 감시: 장기 PPI 사용 시 흡수장애, 골밀도 저하 주의
- 신경학적 발달 검사: 반복 구토로 인한 영양부족 시 운동·인지 발달 지연 가능성
부모 교육 및 예방
- 수유 테크닉: 올바른 자세, 트림 유도, 수유 전후 기저귀 확인
- 구토 인지 신호: 탈수·체중 감소·울음 패턴 변화 즉각 의료진 상담
- 환경 관리: 수유실·가정 온도(22–24℃) 유지, 외부 자극 최소화
- 응급 상황 대응: 반복 분출구토·혈액성 구토 시 즉시 응급실 방문
합병증 및 경과
- 탈수: 전해질 불균형으로 쇼크 가능
- 흡인 폐렴(Aspiration pneumonia): 구토물 흡인 시 호흡곤란·발열
- 영양실조: 지속적 구토로 성장 장애 초래
- 비후성 유문 협착증 지연 진단: 수술 지연 시 영양불량 악화
특수 상황별 관리
- 녹색 담즙 구토: 완전 장 폐쇄 의심, 응급 수술
- 혈액이 섞인 구토: 상부 위장관 출혈 검사(내시경)
- 심한 복통 동반 구토: 복부 초음파·CT로 충수염·장중첩 검사
결론
신생아 구토는 생리적 역류에서부터 생명 위협적 기질성 질환까지 원인이 다양합니다. 정확한 병력·신체검사·검사 결과를 토대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며, 초기 체위·수유 조절부터 약물·수술적 치료까지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부모 교육과 철저한 추적 관찰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성장·발달을 지원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개쉬판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검사, 수치, 치료, 증상, 운동법에 대해 알아보자 (0) 2025.04.14 이재명 대선 출마 영상 (11분 36초 오리지널 full 영상) (0) 2025.04.10 개 디스템퍼 증상, 치료법, 약물 등 자세히 알아보자 (1) 2025.04.08 고지혈증 좋은음식, 증상, 약, 수치, 나쁜음식, 치료관련 알아보자 (5) 2025.04.07 한강 작가 "몽고반점" 도서 책 리뷰, 서평 (솔직 후기) (3) 2025.03.28